guide

시작하기

2025. 4. 1.

Toonit

안녕하세요 투닛입니다.

우선 투닛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투닛은 그림을 직접 그리지 못하는 창작가들을 위해서 3D라는 대신 제공함으로써 창작의 진입장벽을 낮추고자 하는 미션을 가지고 서비스를 만들고 있습니다. 저희들의 이 노력이 잊혀질 수 도 있는 많은 이야기들에게 한 번 더 생명을 불어 넣어주어 창작가와 구독자 모두 더 풍성하고 즐거운 경험으로 이어지길 소망합니다.

1. 시작하기 (Getting Started)

1.1 서비스 소개 및 주요 특징
1.2 회원가입 및 로그인
1.3 브라우저 및 권장 환경
1.4 기본 화면 구성 이해


1.1 서비스 소개 및 주요 특징

안녕하세요 투닛입니다.

투닛은 누구나 쉽게 웹툰, 스토리보드, 영상 연출 장면 등 비주얼 콘텐츠를 만들 수 있도록 돕는 웹 기반 창작 툴입니다. 투닛은 창작을 할 수 있는 투닛 스튜디오, 만들어진 작품을 읽을 수 있는 투닛 콘텐츠 페이지, 3D 에셋들을 사고 팔 수 있는 마켓플레이스 구성되어 있습니다.

가압하시는 모든 분들께 투닛 3D에셋을 자유롭게 사용해보시라고 1000개의 툰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1.2 회원가입 및 로그인

회원가입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가입하기’ 버튼을 누른 후 필수 정보를 입력하고 ‘가입 완료’ 버튼을 누릅니다.

둘째, 구글 또는 SNS 계정을 통해 간편하게 가입할 수 있습니다.

(단, 일부 국가에서는 SNS를 통한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3 브라우저 및 권장 환경

사용 브라우저는 크롬을 추천드립니다.


1.4 기본 화면 구성 이해

[투닛 렌즈]

1. 3D 에셋 패널 (화면 좌측 영역)

이 영역은 약 4,000개 이상의 3D 에셋(배경, 캐릭터, 사물 등)을 한눈에 확인하고, 장면에 쉽게 불러올 수 있는 곳입니다.

사용자는 원하는 에셋을 클릭하거나 드래그하여 작업 공간에 직접 배치할 수 있습니다.

또한 카테고리별 분류와 검색 기능을 통해 필요한 요소를 빠르게 찾을 수 있습니다.


2. 3D 컨트롤 바 (화면 상단 툴바)

3D 컨트롤 바는 선택된 오브젝트의 위치, 회전 방향, 크기 조절뿐 아니라 복제나 삭제 등 기본 조작 기능이 모여 있는 도구 영역입니다.

이 컨트롤 바를 사용하면 캐릭터나 소품을 세밀하게 조정하여 원하는 연출을 정확히 구현할 수 있습니다.


3. 렌더링 뷰포트 (화면 중앙 작업 공간)

렌더링 뷰포트는 실제 작업이 이루어지는 주된 공간으로, 선택한 에셋들이 배치되고 시각적으로 표현되는 3D 공간입니다.

사용자는 이 공간 안에서 오브젝트를 자유롭게 조정하고, 카메라 시점과 조명을 설정하여 장면을 완성할 수 있습니다.

모든 작업은 실시간으로 렌더링되어, 결과물을 즉시 확인하며 작업할 수 있습니다.


4. 촬영, 저장, 캔버스 이동 기능 (화면 우측 상단 메뉴)

이 기능들은 완성된 장면을 저장하거나 이미지로 캡처하고, 이후 편집 작업을 위한 ‘캔버스’로 전환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촬영 기능을 통해 현재 장면을 2D 이미지로 저장할 수 있고, 저장 버튼을 통해 전체 프로젝트를 보관할 수 있습니다.

캔버스 이동 버튼을 누르면 다음 단계인 스토리텔링 제작 화면으로 전환됩니다.


5. 환경 설정 패널 (화면 우측 영역)

환경 설정 패널에서는 장면의 조명, 하늘색, 배경 톤, 날씨 효과 등 다양한 환경 요소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조명의 색상과 밝기, 방향은 물론, 빛의 종류(포인트, 스팟 등)를 선택해 연출하고자 하는 분위기를 세밀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또한 ‘언리트(Unlit)’ 기능을 활성화하면 조명의 영향을 배제한 밝고 선명한 스타일을 적용할 수 있어 웹툰이나 만화 스타일의 콘텐츠 제작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투닛 캔버스]

1. 이미지 에셋 패널 (화면 좌측 영역)

이미지 에셋 패널은 말풍선, 스티커, 배경 효과, 브러시, 자막 등 시각적인 요소들을 선택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웹툰, 포스터, 카드뉴스 등 다양한 콘텐츠의 마무리 작업을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시각 요소들이 정리되어 있으며,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장면에 바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2. 자동 저장 기능 (상단 메뉴 바)

캔버스에서 작업한 내용은 사용자가 저장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저장되며, 이 저장된 내용은 공동 작업자에게도 실시간으로 반영됩니다.

이 덕분에 언제든지 이어서 작업할 수 있고, 작업의 안정성이 높아집니다.


3. 실시간 협업 기능 (우측 상단 팝업 창)

다른 창작자를 초대하여 같은 프로젝트를 동시에 수정하고 작업할 수 있는 협업 기능입니다.

초대받은 사용자는 역할(관리자, 편집자, 뷰어 등)에 따라 작업 권한이 설정되며, 공동 작업 시 실시간으로 업데이트가 반영됩니다.


4. 출판 및 내보내기 기능 (하단 우측 미니 창)

완성된 콘텐츠는 곧바로 출판하거나 내보내기를 통해 외부에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출판 기능은 프로젝트를 공유 가능한 형태로 저장하여 일반 사용자에게 공개할 수 있도록 해주며, 내보내기 기능을 사용하면 촬영한 이미지나 수정한 장면을 다른 프로젝트로 가져가 추가 작업할 수 있습니다.


5. 스토리보드 섹션 (화면 중앙 작업 공간)

스토리보드 섹션은 촬영된 이미지와 편집한 시각 요소들을 순서대로 배열하여 최종 결과물을 구성하는 공간입니다.

이곳에서는 창작자의 의도대로 장면을 정렬하고, 자막이나 말풍선, 효과 등을 넣어 콘텐츠의 흐름을 명확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 요약

Toonit의 캔버스 기능은 장면을 구성하고 다듬는 마지막 단계로, 사용자가 스토리를 시각적으로 완성하고, 협업하며, 최종 콘텐츠로 정리해 나갈 수 있도록 설계된 편집 환경입니다.


[투닛 캐릭터]

1. 3D 캐릭터 패널 (화면 좌측 영역)

Toonit은 다양한 스타일의 3D 캐릭터를 제공하며, 각 캐릭터는 사전 리깅되어 있어 바로 포즈를 적용하거나 애니메이션을 줄 수 있습니다.

캐릭터는 얼굴, 의상, 헤어스타일 등을 자유롭게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원하는 외모나 개성에 맞게 캐릭터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바디 포즈와 얼굴 표정이 프리셋으로 함께 제공되어 연출이 훨씬 간편하고 직관적으로 이루어집니다.


2. 프리셋 포즈 (화면 하단 우측 – 스타일 창)

Toonit은 1,000개가 넘는 다양한 프리셋 포즈를 제공합니다.

이 포즈들은 일상적인 동작부터 감정 표현까지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클릭 한 번으로 캐릭터에 바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포즈는 전체 동작 또는 부분 포즈(상체, 하체 등)로도 구분 적용이 가능해 섬세한 연출이 가능합니다.


3. 커스텀 포즈 조작 (화면 우측 – 캐릭터 조작 화면)

Toonit에서 제공하는 모든 캐릭터는 리깅이 적용되어 있어, 사용자는 캐릭터의 관절을 직접 조작하여 자신만의 포즈를 만들 수 있습니다.

팔, 다리, 허리 등 세부 부위를 개별적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한정된 프리셋을 넘어서 자신만의 독창적인 연출을 할 수 있습니다.

커스텀 포즈는 스토리텔링이나 감정 표현에 있어 매우 유용하며, 반복 사용을 위해 저장할 수도 있습니다.


📌 요약

Toonit의 캐릭터 시스템은 기본 캐릭터 선택부터 커스터마이징, 프리셋 포즈 적용, 세밀한 관절 조정까지 전문적인 3D 지식 없이도 직관적으로 고품질 연출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이 기능은 특히 웹툰, 애니메이션, 스토리보드 제작에서 짧은 시간 안에 많은 장면을 구성해야 하는 사용자들에게 큰 효율성을 제공합니다.